한국은행 뉴욕사무소의 하반기 미국 경제 전망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출처 : 한국은행 뉴욕사무소]
한국 은행 뉴욕사무소에서 하반기 미국 경제 전망과 관련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7월 4일 발표)
'2022년 하반기 미국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라는 제목으로 발간된 보고서로, 총 24page에 달합니다.
목차를 차례대로 나눠보자면,

- 2022년 상반기 미국 경제 동향
- 2022년 하반기 미국 경제 전망
- 주요 이슈
정도로 크게 3가지 part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요한 내용은 하반기 미국 경제 전망이니, 상반기 리뷰는 자료 정도로 갈음하고 넘어가겠습니다.
- 2022년 하반기 미국 경제 전망 -
1. 미국 경제는 성장세가 크게 둔화될 전망
1-1) 부문별로는 기업투자가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정부 지출이 하반기 소폭 증가하겠으나, 개인 소비 증가세가 크게 낮아지고 주택투자는 감소 전환 전망
1-2) 고용 사정은 수급 불균형으로 Tight한 노동시장 상황이 지속되고, 물가는 하반기에도 높은 수준을 이어가겠으나 상승률은 점차 낮아질 거승로 예상
정도가 Summary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1. 주요 기관별 세계 경지 성장률 전망

세계은행 - 2022 : 2.9%, 2023 : 3.0%
OECD - 2022 : 3.0%, 2023 : 2.8%
IMF - 2022 : 3.6%, 2023 : 3.6%
OEF - 2022 : 3.1%, 2023 : 3.0%
IHS - 2022 : 2.9%, 2023 : 3.1%
2022년은 최소 2.9%, 최대 3.6%
2023년은 최소 2.8%, 최대 3.6%
로 전망하고 있네요.
1-1) 미국 경제 성장

[출처 : Bloomberg]
미국 경제 5월 이후 빠르게 둔화
> 주간경제 활동지수
: 22년 1월 : 5.56, 2월 : 5.29, 3월 : 4.37, 4월 : 4.41, 5월 : 3.47, 6월 : 2.54
1-2) 개인 소비 증가율 하반기부터 둔화될 예정

[출처 : Bloomberg]
1-3) 성장성 둔화에 따른 기업 수익 감소, 금리 상승 및 주식 시장 부진에 따른 투자 요인 축소될 우려
2. 고용
성장세 둔화에도 불구, 노동수급 불일치로 타이트한 노동 시장 상황 당분간 지속 전망

[출처 : FRED, Bloomberg]
수급 뷸균형, 고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임금 인상 압력 높으나, 상승률은 하반기 이후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에 따라 다소 낮아질 전망
3. 물가

[출처 : Bloomberg, Goldman Sachs]
하반기에도 연준 목표치(2%)를 크게 상회할 가능성 높음
*단, 공급망 완화에 따른 수급 불균형 단계적 개선, 통화긴척 수요 저감 효과 등 물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
대략 이 정도의 내용이 주요 내용 정도라고 보여집니다.
종합해보자면,
- 기업들 수익성 악화에 따른 경기 침체는 불가피할 것
- 다만, 인플레이션 역시 하반기 들어 잦아들 가능성 있음
- 기준 금리 역시 피크아웃 가능성
정도로 요약가능해보입니다.
지금까지 한국은행 뉴욕사무소에서 전망한 미국 하반기 경제 전망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 애크먼 "기준금리 5%까지 인상" 트윗(Tweet) 분석 (2) | 2022.07.06 |
---|---|
아시아 증시 급락 이유 분석 [마감 시황] (1) | 2022.07.06 |
지옥에서 돌아왔다(?) 나스닥 상승 반전 마감 3가지 이유 분석 (0) | 2022.07.06 |
한국 6월 소비자물가 분석 [6% 돌파] (0) | 2022.07.06 |
[미국 시황] 7월 5일 본장 전에 알아두면 좋은 이슈 3가지 분석 (1)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