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애크먼 "기준금리 5%까지 인상" 트윗(Tweet) 분석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트위터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퍼싱스퀘어 캐피탈의 빌 애크먼이 'Business is a confidence game'이라는 트윗을 남긴지 얼마 지나지 않아, 장문의 트윗을 남겼는데요.
미국 시간 기준으로 5일에 남긴 트윗입니다.
한국 언론에서 따로 받은 곳이 없어, 제가 번역해보고자 게시글 공유드립니다.

[출처 : Twitter.com, @Billackman]
1. 소문에 따르면, 2주 전부터 경기 침체에 대한 공포로 금리가 하락하고 있음
2. 금요일 증시 움직임은 단기 트레이딩 변동성에 따른 발작
3.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나의 이론을 제시

[출처 : Twitter.com, @Billackman]
1. 경기 침체는 2분기 연속 GDP 감소를 의미
2.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경제 성장률이 인플레이션을 뛰어넘기 힘듦
3. 따라서 현재 물가상승률(8.6%)을 뛰어넘기 어려움
4. 시장 참여자들은 4-5% 성장률, 2% 인플레이션에 익숙해져있음
5. 펀더멘털상, 물가상승률이 9%일때, 명목성장률이 8%를 기록했다고 해서 경기침체라고 보기는 어려움
6. 구직 희망자 대비 구인 건수가 2배에 가까움

[출처 : Twitter.com, @Billackman]
1. 2분기 가격 결정력이 약한 일부 기업 어닝 미스, 대부분의 기업들은 이익 성장률이 높게 나타날 것
2. 소비자들은 대략 2.5조 달러를 초과하는 저축을 기록
3. 전반적으로 수요도 나쁘지 않음
4. 공급이 문제이지, 수요가 문제는 아님
5. 그렇다면 금리는 왜 떨어지고 있는가?
*빌애크먼이 말하는 금리는 채권금리인것 같네요.
6. 금리 하락에 대한 주요 원인은 기술적 요인에 기인(헤지펀드 등)
> 이 부분은 조금 해석이 난해하네요.

[출처 : Twitter.com, @Billackman]
1.실업과 경기침체를 확산시키는 한이 있더라도,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파월은 무엇이든 해야함.
2. 인플레이션은 쉽게 잦아들지 않을 것
3. 예측 가능한 미래에서도 주택, 에너지, 식료품 등의 가격 잡히지 않을 것
4. 기업들은 그들의 비용(인건비 등)을 전가하기 위해 가격을 올릴 것
5. 임금-가격 나선 효과(Wage-Price Spiral)는 현재진행형
6.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싶다면, 연준은 내년까지 금리를 4 ~ 5% 수준으로 인상해야함
7. 인플레이션을 당장 진압하는 것이 단기적으로는 고통스러울지라도, 장기적으로는 옳은 방향
결국 하고 싶은 말은 맨 아래의 트윗 정도인 것 같은데요.
- 인플레이션 지금 당장 잡아라
- 내년 까지 4~5%까지 금리 인상해라
- 장기적으로는 그게 좋은 방향일 것으로 보인다.
정도로 요약가능할 것 같네요.
지금까지 빌애크먼(Bill ackman)의 트윗 내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비안 2분기 전기차 생산량 분석 [FEAT. 주가] (0) | 2022.07.07 |
---|---|
FOMC 의사록(회의록) 중요 포인트 분석 (0) | 2022.07.07 |
아시아 증시 급락 이유 분석 [마감 시황] (1) | 2022.07.06 |
한국은행 뉴욕사무소의 하반기 미국 경제 전망 (2) | 2022.07.06 |
지옥에서 돌아왔다(?) 나스닥 상승 반전 마감 3가지 이유 분석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