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 직접 투자하는 방법 [Feat. 채권투자]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3월 FOMC에서 연준이 미국 기준금리를 0.25% 추가로 올리면서 미국 기준금리는 4.75% ~ 5.00%로 변경되었습니다.
2년 전만 하더라도, 저금리 환경에 완벽하게 적응되어있던 투자자들, 그리고 시장에서는 '삐그덕' 소리가 만연하고 있는데요.

[출처 : Google, SVB]
SVB, CS 사태 모두 어느정도 일단락이 되었다고는 하지만, 불안정성이 완벽하게 해소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어보입니다.

[출처 : 네이버, 동학개미에 이은 채권개미..]
최근에는 이러한 금융환경 등으로 미국채 투자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대략적으로 다음의 이유와 같습니다.
1. 상대적 고금리 제공 (4% 후반- 5% 중반의 금리)
2.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시장 불안정성에 대한 투자 대안
3. 차후 금리 안정화로 인한 +@ 수익 가능
4. 달러 동시 투자 가능
정도의 이유로 미국채 투자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즉,

[출처 : CME Group]
동결 52.4%, 인상 : 47.6%로 비등비등한 수치
(4월 13일 기준으로는 많이 바뀌었습니다.)
1. 시장에서 최대 한 차례 정도의 미국발 기준금리 인상을 기대하고 있고 = '이후 채권금리는 떨어질 일만 남았다는 기대감에 채권가격 상승'
2.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지게 됨으로 미국 채권 수요 증가 = '미국 채권 가격 상승'
정도의 이유가 현재 미국채 투자의 주된 이유라고 보여집니다.
그렇다면 미국 국채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에는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등의 증권사 모바일 앱으로 간편하게 미국 국채를 사고 팔 수 있는데요.
저의 경우에는 삼성증권 모바일 앱인 엠팝으로 한 번 시도해봤습니다. 아래의 화면을 따라오시면 아주 쉽습니다.


메뉴 ▶️ 금융상품/자산관리 ▶️ 채권/RP ▶️ 해외채권거래하기 ▶️ 해외채권중개매매신청 ▶️ 종목 검색 ▶️ 미국
입니다.
*미국으로 검색하면 미국채를 쭉 검색할 수 있습니다. 수익률 순으로 정렬되어있네요.

가장 위의 채권을 예를 들어서보자면
T : Treasury (채권)
1.25 : 표면금리
05/15/50 : 만기일
'만기 2050년 5월 15일(잔존기간 27년 2개월) 남은 표면금리 1.25%로 발행된 미국채' 정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상품을 클릭하면 알 수 있습니다.
미국 채권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주의사항 등을 참고해주시면 좋습니다.

- 해외채권을 매수하기 전, 발행 통화(달러)로의 환전이 필요
- 최소 투자 금액 : 100달러(현재 기준으로는 약 13만원)
- 중개매매 신청 가능 시간(매매가능시간) : 오전 9시 ~ 오후 4시(영업일 기준)
"나는 직접투자가 조금 무리다요" 하시는 분들은 ETF로 국채에 간접투자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국내 주식시장에서 ETF로 투자하는 법, 그리고 나머지는 역시 국내 주식시장에서 간접으로 해외 시장에 상장된 ETF에 투자하는 법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아래와 같은 ETF를 통해 미국채 간접 투자가 가능합니다.

[출처 : 한국경제, 네이버, 한국거래소]
이제 국내 주식 시장에서 해외 주식 시장에 상장된 미국채 관련 ETF에 투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요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금까지 미국 국채에 직접/간접투자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일드 리세션(Mild Recession)은 정말 가능할까? (0) | 2023.04.18 |
---|---|
연준 월러 이사 발언 정리 [금리 더 올려야..?] (0) | 2023.04.15 |
5%로 발표된 3월 미국 CPI 분석 (소비자물가지수) (1) | 2023.04.13 |
3월 FOMC 의사록 해석/요약 (1) | 2023.04.13 |
에코프로 매도 리포트 분석 [하나증권 - Great company, but Bad stock] (2)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