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일드 리세션(Mild Recession)은 정말 가능할까?
2023. 4. 18. 08:07
반응형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미국 채권 금리가 다시 고개를 빼꼼 들고 있는데요.
이는 어제 뉴욕 연은에서 발표한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발표로 인함입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발표 : +10.8
예측 : -18.3
이전 : -24.6
4월 뉴욕 제조업지수는 지난 달 발표된 -24.6, 예상치인 -18.3을 모두 크게 상회하였습니다. 이것도 자세한 내용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규 주문 : -21.7 > +25.1
출하 지수 : -13.4 > +23.9
가격 지수 : +41.9 > +33.0
정도가 주요 지표로 보여집니다.
위의 자료들을 추가로 풀어서 해석해보자면,
1. 신규 주문 및 배송 급등
2. 가격은 꾸준히 떨어지는 모습을 보임
3. 뉴욕 주 기업 활동 5개월만에 반등
으로, 결국에는 극심한 경기침체가 아닌, 지난 3월 연준 의사록에서 나온 'Mild Recession'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채금리가 다시금 고개를 빼꼼 쳐들기 시작했습니다.
*경기침체인줄 알았는데 아니네? 안전자산 팔아버려야지의 심리가 작용
으로 보입니다.

[출처 : Bloomberg]
실제로 연준의 기준 금리 예상치는 쭉 떨어지다가 다시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미국 증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인상은 계속된다? 제임스 블라드 연은 총재 발언 정리 (1) | 2023.04.19 |
---|---|
포브스 선정 2023년 한국 부자 1위는? (1) | 2023.04.18 |
연준 월러 이사 발언 정리 [금리 더 올려야..?] (0) | 2023.04.15 |
미국 국채 직접 투자하는 방법 [Feat. 채권투자] (0) | 2023.04.14 |
5%로 발표된 3월 미국 CPI 분석 (소비자물가지수) (1) | 2023.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