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가 다했다? 미국 증시 랠리 이유 🚀🚀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오늘 미국 증시는
다우존스 0.51%
나스닥종합지수 1.36%
S&P 500 0.99%
로 3대 지수 모두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사실,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 활동지수나, 미국 경기선행지수 등이 예측치 대비 하회하면서
경기침체 이슈가 한층 불거지는게 아닐까 했는데, 개별 종목들이 랠리를 이어가면서 상승마감하게 됐습니다.
특히, 이는 ECB의 예상을 뛰어넘는 50bp 기준금리 인상이 한 몫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유럽중앙은행(ECB) 기준금리 50bp 인상 분석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제가 만든 위의 이미지에는 0.50% 표시가 안되어있지만, 한국 시간 기준으로 9시 15분, 유럽중앙은행에서 50bp 기준금리 인상이 있었습니다. (11년만이군요) 얼마전 1달
seek-and-eat.tistory.com
어제 미국 증시의 주요 이슈로는
앞서 설명했던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와 미국 경기 선행지수, 그리고 바이든 대통령 코로나 확진 정도였을 것 같네요.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 지수-
실제 : -12.3
예측 : -2.5
이전 : -3.3
세부 항목들을 살펴보면,
The index for new orders declined for the second consecutive month, from -12.4 to -24.8.
[신규 수주 관련 지수 : -12.4 > -24.8로 대폭 감소]
However, the current shipments index rose from 10.8 to 14.8.
[다행인건, 운송지수가 10.8에서 14.8로 인상]
*수주가 줄어서인지.. 아니면 공급망 이슈가 어느정도 완화되고 있는건지 해석에 따라 호재일수도, 악재일수도
but the employment index declined 9 points to 19.4, its lowest reading since May 2021
[고용은 9포인트 감소, 2021년 5월 이후 최저]
Nearly 79 percent of the firms indicated wages and compensation costs had increased over the past three months
[79%에 달하는 기업이 과거 3개월간 임금과 보상 관련 상승분이 있었음]
기업들에게 영 좋지 않은 환경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지표입니다.
다음은 경기 선행지수입니다.
컨퍼런스보드에서 발표하는 경기 선행지수가 3개월 연속 (-)를 기록하고 있는데요.
Accordingly, we’ve downgraded our forecast of 2022 annual Real GDP growth to 1.7 percent
year-over-year (from 2.3 percent), while 2023 growth was downgraded to 0.5 percent YOY (from 1.8 percent).”
[우리는 2022년 실질 GDP(YoY기준)를 2.3%에서 1.7%로 하향 조정, 2023년 성장률 역시 0.5%로 하향 조정(1.8%에서)]
많은 시장 전문가들이 예상하듯, 실제 경기침체는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컨퍼런스 보드 역시 보고 있네요.
다음은 바이든 대통령의 코로나 확진입니다.
[출처 : CNN]
경증이라고 하네요.
*심각해도 경증이라고 해야되지 않으려나..?
아무튼, 올해 자전거 타다가 넘어지고, 코로나 확진에.. 지지율 바닥에.. 아주 힘든 노년을 보내고 계시네요.
정리하자면, 여러가지 경기 지표들이 여전히 어렵지만,
- 노드스트림1 재개(물론 CAPA는 낮지만)
- 유로화 빅스텝으로 인한 유로 = 달러 패러티 현상 완화에 따른 강달러 지속 현상 완화
*강달러는 미국 빅테크 기업 등 글로벌 기업에게 좋지 않음
등이 호재로 작용한 듯 합니다.
즉, ECB가 다했다!
감사합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 2조 클럽 입성! 2분기 실적 발표 분석 (1) | 2022.07.22 |
---|---|
SNAP 또 너야?! 2분기 어닝 쇼크 분석 [실적 발표] (1) | 2022.07.22 |
유럽중앙은행(ECB) 기준금리 50bp 인상 분석 (2) | 2022.07.21 |
로이터 시장 전문가 미국 경제 설문 조사 [feat. Reuters] (0) | 2022.07.21 |
상승 마감했지만 불안한 미국 증시 [21일 마감시황] (3) | 2022.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