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feat. 과거 10년]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오늘 금통위에서 국내 기준금리를 인상했습니다.
아래는 해당 보도자료가 게시된 한국은행 홈페이지 링크입니다.
▼▼▼ 금리 인상 보도자료 링크 ▼▼▼
통화정책방향(2021.8.26) | 보도자료(상세) | 커뮤니케이션 | 한국은행 홈페이지
통화정책방향(2021.8.26)
www.bok.or.kr
금리 인상 관련해, 대략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기존 기준 금리 대비 25bp(0.25%)를 인상했습니다.
기존 : 0.5%
인상률 : 0.25%
기준금리 : 0.75%
약 15개월만의 금리 인상이네요.
주식 시장 역시 1년 3개월만의 금리 인상에 따른 조정을 보였지만, 단기 영향일 것으로 생각이 들며,
큰 폭의 움직임은 보이지 않을걸로 보입니다.
*테이퍼링이 미치는 영향이 더 클겁니다. 제 생각에는
언론에서는 이번 25bp 금리 인상에 대해 '초저금리 시대 마감' 뭐 이런식으로 대서특필하더라구요?
"0.75%도 초저금리입니다"
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과거 10년간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를 한 번 알아볼까요?
잘 안보이실까봐 과거 10년치는 엑셀로 만들어봤습니다.
2016년 6월,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1.25%일때, 언론사의 기사를 한 번 살펴볼까요?
[제로금리 시대를 사는법⑤]‘사상 최저’ 국고채금리 얼마까지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내린 1.25%로 전격 인하하면서 국고채 금리는 역사상 최저치를 찍었다.기준금리 하락 효과가 당분간 ...
news.naver.com
헤럴드경제의 기사인데, 당시 한은 기준금리를 1.5%에서 1.25% 인하했을때 당시의 기사입니다.
'제로 금리'라는 말을 이 당시에도 사용하고 있네요.
저금리의 기준이 뭔지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네요.
*물론, 은행에서의 예대금리 인상의 기폭제는 되겠지만요.
결론은, 0.75%도 충분히 저금리이며, 주식/부동산 등에 자극을 줄 정도의 유동성 회수는 아닐것으로 전망합니다.
지금까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알파벳 A주/C주(GOOGL/GOOG)의 차이점 (16) | 2021.08.29 |
---|---|
폭탄테러와 바이든 성명, 그리고 미국 증시 (2) | 2021.08.27 |
잭슨홀, 테이퍼링에 대한 미국 현지의 시각 [주요 명사들] (1) | 2021.08.26 |
나스닥 사상 최고치 기록(15,000pt), 미국 증시 과열일까? (3) | 2021.08.25 |
금리가 인상하면 정말 부동산 값이 떨어질까? (7) | 2021.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