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FOMC와 미국 기준금리 종착지는?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오늘은 올해 가장 주요했던 이슈 중, 하나인 3월 FOMC가 있던 날입니다. 생각보다 매파적이지는 않았고, 심지어 파월 의장이 횡설수설 말을 이어가, 시장에 혼란만 준 느낌입니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다음 게시글에서 살펴보고 성명문(Statement)과 점도표를 기준으로 한 번 금리 방향을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성명문에서 변한 부분, 그리고 추가된 부분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내용에서 주요한 부분은
1. Inflation has eased somewhat but
이 부분이 생략되었습니다.
- "인플레이션이 어느정도 완화되었다"는 표현
2. The Committee anticipate that some additional policy firming may
- 어느정도 추가적인 통화 정책이 예상됨
정도의 내용입니다.
이 정도의 내용만 살펴봐도 어느정도는 매파적인 느낌을 띄고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점도표(Dot Plot)입니다.


[출처 : FRB]
점도표를 살펴보면,
연준 위원들은 올해 기준금ㄹ를 5.1%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지난 12월 점도표와 동일
이를 해석해보면, 현재 김리 수준인 4.75% ~ 5.00% 수준에서 한 차례 정도 더 인상할 것이라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점도표를 다시 보면, 전체 18명 중, 10명이 한 차례 인상 정도를 내다보고 있고, 나머지 7명은 이보다 더 높은 금리를, 1명은 현재 수준 유지를 예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WSJ]
이를 그림으로 표현해보면, 위와 같습니다.
어쨌든, 2023 ~ 25년까지 현재 금리에서 한 풀 꺾이는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이제 금리 인상도 정점에 달한 것 같은데, 증시가 많이 고꾸라졌는데요?"
아래의 내용 때문에 주가, 그리고 채권 금리가 많이 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옐런 미 재무장관 : 예금자 보험에 해당되지 않는 '모든' 예금에 대한 보장 방안은 검토중이지 않음.
즉, 포괄보험 검토 안한다, 뭐 이런 내용인데요.
옐런.... 네 이놈! 갈!

[출처 : Google]
어쨌든, 뭔가 상황이 수렁으로 빠지고 있는 느낌입니다.
지금까지 FOMC와 미국 기준금리 관련된 내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시 상승 반전 이유 [3월 24일 마감시황] (2) | 2023.03.24 |
---|---|
제롬파월 연준의장 3월 FOMC 발언 정리 (3) | 2023.03.23 |
옐런 재무장관 연설 요약 [은행 위기] (3) | 2023.03.22 |
은행발 위기 소멸? 미국 증시 마감 시황 (0) | 2023.03.21 |
버핏옹의 옥시덴탈 줍줍 공시 (13F) (2)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