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출처 : Google, Paul Krugman]

지난 주,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폴 크루그먼 교수가 '인플레이션에 대한 예측은 틀렸다' 라는 내용의 사설을 게재했습니다.

내용이 그렇게 길지는 않아서, 주요 내용 위주로 해석해볼만 하겠다 싶어서 옮겨봅니다.

가끔 이런 저명한 교수들의 사설 등을 읽는건 현재 시류를 살펴보는데 어느정도 도움이 되곤 합니다.


[출처 : NY Times]

제목 : I was wrong about inflation
[인플레이션, 내가 틀렸다]

In early 2021 there was an intese debate among economists about the likely consequences of the American Rescue Plan, the $1.9 trillion package enacted by a new Democratic president and a Democratic Congress.
[2021년 1.9조 달러의 부양책에 관해 경제학자들간의 논의가 활발했음]

Some warned that the package would be dangerously inflationary ; others were fairly relaxed, I was Team Relaxed. As it turned out, of course, that was a very bad call.
[해당 법안이 굉장히 위험할정도로 인플레이션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일부는 경고했고, 일부는 별 신경을 안썼는데, 내가 그런부류였고, 아주 잘못된 결정이었음]

But what, exactly, did I get wrong? Both the initial debate and the way things have played out were more complicated than I suspect most people realize.
[내가 틀렸던걸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 보다 상황이 복잡해졌음]

You see, this wasn’t a debate between opposing economic ideologies.
[알다시피, 반대되는 경제 이념들 사이의 논쟁이 아님]

So here’s the odd thing: The multiplier on the rescue plan does, in fact, seem to have been relatively low.
[부양책의 승수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것으로 해석됨]

A lot of consumers saved those checks; state and local government spending rose by less than one percent of G.D.P. Employment is still below its prepandemic level, and real G.D.P., while it has recovered to roughly its prepandemic trend, hasn’t shot above it.
[많은 소비자들이 소비를 줄임에 따라, 주정부 및 지방정부의 지출이 GDP의 1%도 안되는 수준으로 증가. 고용은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을 밑돌며, 실질 GDP 역시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그 수준 내외]

Yet inflation soared anyway. Why?
[하지만, 물가는 상승했습니다. 왜일까요?]

Much, although not all, of the inflation surge seems to reflect disruptions associated with the pandemic.
[인플레이션 급증의 상당 부분은 팬데믹과 관련된 혼란을 반영]

Fear of infection and changes in the way we live caused big shifts in the mix of spending
[감염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삶의 방식의 변화가 지출의 큰 변화를 야기]

People spent less money on services and more on goods, leading to shortages of shipping containers, overstressed port capacity, and so on. These disruptions help explain why inflation rose in many countries, not just in the United States.
[사람들은 서비스에 돈을 덜 쓰고 상품에 더 많이 소비하게 되면서, 선적 컨테이너의 부족으로 이어짐]
*즉, 공급망 대란을 불러일으킴

But while inflation was confined mainly to a relatively narrow part of the economy at first, consistent with the disruption story, it has gotten broader.
[처음에는 경제와 같은 비교적 좁은 부분에서만 인플레이션 현상이 국한된 반면, 현재는 굉장히 광범위해짐]

Looking ahead, the economy is currently cooling off — the decline in first quarter G.D.P. was probably a quirk, but overall growth seems to be running below trend.
[전망을 해보자면, 경제는 천천히 식어가고 있다. 1분기 GDP의 하락은 놀랍지만, 전반적으로 성장은 둔해질 것]

And private sector economists I talk to mostly believe that inflation either has already peaked or will peak soon. So things may seem less puzzling a few months from now.
[그리고 대부분의 경제 학자들은 인플레이션이 이미 최고조에 달했거나 곧 최고조에 이를것으로 보고 있기에 몇 달 후의 상황은 나아질 것]

정리해보자면,
- 팬데믹으로 인한 부양책이 예상 대비 인플레이션을 큰 폭으로 밀어올림
- 그 이유로는 1. 부양책의 승수 효과가 크지 않았음
- 2. 감염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소비 패턴 변화
- 3. 이러한 현상이 공급망 대란을 불러일으켰고 인플레이션의 가속화를 불러일으킴

정도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즉, 얼마까지 문제가 됐었던 재고(Inventory) 관련 이슈도 이와 멀찍이 떨어진 이슈는 아니라고 볼 수 있겠네요.

지금까지 폴 크루그먼의 인플레이션 관련 사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BELATED ARTICLES

more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