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오늘 코스피는 타 아시아 국가 대비 증시 흐름이 좋은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금리 인상에 따른 부채 압박'은 국가적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출처 : 연합뉴스, 김영은/원형미 기자]

한/미 기준금리의 Outlook을 아주 잘 표현한 연합뉴스의 이미지가 있어 공유드립니다.

위의 이미지에서 알 수 있듯이, 9월부터는 한-미 기준금리 역전이 본격화될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요.
*연은(FED) 총재들의 발언에 따라 최소 3.5%에서 최대 4.0%가 기준금리일 가능성이 높음.

특히 시장 참여자들은 "한-미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벌어져 자본 유출이 심화될것 같은데요?!"라며 걱정의 말씀을 많이 하는데요.

그렇다면 과거에는 어땠을까요?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한국투자증권]

한미 금리 역전은 역사적으로 총 세번으로
1. 1999년 6월 ~ 2001년 2월
2. 2005년 8월 ~ 2007년 8월
3. 2018년 3월 ~ 2020년 2월

이었는데요.

이 당시 단순 코스피 수익률을 한 번 비교해보자면,


예상했던 것 보다는, 한-미 금리 역전이 무조건적으로 국내 증시에 악영향을 끼친다라는 결론을 맺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자금 유입은 어떨까요?


[출처 : 국제금융센터, 김용준 연구원]

국제금융센터의 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 자금 유출 가능성 우려
- 외국인들의 원화 채권 투자 패턴, 과거 사례 등을 바탕으로 큰 폭 자금유출 제한될 것

으로 결론을 내렸네요.
실제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자료를 한 번 보겠습니다.


[출처 : 한국은행]

정책 금리 역전 기간에도 증권자금은 순유입됐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참 과거인 99년도를 제외하고는 주식에서 좀 빠지긴 했네요.
.


[출처 : 신한금융투자]

현재 상황이 과거의 상황보다 훨씬 더 다이나믹한 상황임은 맞지만, 과거 사례 등 데이터와 장기 미국 금리 곡선등을 기반으로는 한-미 금리 역전으로 인한 자본 유출에 대해서는 '그렇게까지' 크게 과민반응할 필요는 없다 정도가 알맞을 것 같습니다.
+물론 종합적으로는 그 당시 물가 상승률, 그리고 원자재 가격 등까지 챙겨봐야겠지만.. 그러기에는 제 능력밖이라..


[출처 : 연합뉴스]


[출처 : 세계일보, 추경호 경제부총리]


추경호 경제부총리 역시 "당장의 급격한 자본유출은 없을것"이라며 시장을 안정시켰습니다.

지금은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가 장기적으로 Flattening되기를 바라야 할뿐입니다.

지금까지 한미 기준금리 역전과 자금 유출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BELATED ARTICLES

more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