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의 미국 경제 전망(Economic Outlook) 분석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지난 주 금요일, IMF에서 미국 GDP 성장률과 관련된 보고서를 발간하였는데요.
*딱히 보고서..라고 보기는 어렵고, IMF 총재 성명 정도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주요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United States of America: Concluding Statement of the 2022 Article IV Mission
[출처 : IMF]
해당 표에서 주요하게 살표볼 내용은
Real GDP (annual growth)
Unemployment rate (Q4 average)
Fed funds rate (end of period)
PCE Inflation (Q4/Q4)
정도일겁니다.
2022년과 2023년 목표치를 순서대로 정리해보자면,
GDP(성장률) : 2.9%, 1.7%
실업률 : 3.2%, 4.4%
미국 기준금리 : 3.4%, 3.9%
PCE 물가지수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 5.4%, 2.0%
해당 보고서의 큰 소제목들 위주로 한 번 정리해보겠습니다.
A Strong Recovery from the Pandemic
[펜데믹으로부터 강력한 회복]
Rapid wage increases for lower income workers have reduced income polarization, poverty fell to 9.1 percent in 2020
(from 11.8 percent in 2019)
[급속한 임금 인상은 소득 불균형 간극을 좁힙 : 2019년 11.8% → 2020년 : 9.1%]
Stress tests show the banks to be very liquid and highly capitalized.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은행들의 유동성, 그리고 높은 자본 건전성 확안]
The Challenge of Inflation
[인플레이션에 대한 도전]
Supply chain constraints proved more persistent than expected and there are new concerns linked to the Russian
invasion of Ukraine and Chinese lockdowns.
[공급망 이슈는 생각보다 더 지속되고 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중국 락다운 관련 우려 존재]
In year-on-year terms, core PCE inflation has likely peaked, but it remains at high levels, and median PCE inflation
continues to rise, underlining the broad-based nature of price pressures.
[YoY 기준, PCE 인플레이션은 정점 가능성 높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
At the same time, wage pressures—that were initially apparent in low skill occupations—have spread quickly
across the economy as firms struggle to fill vacancies and workers switch jobs at an increasing frequency.
[임금 압박은 경제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Reducing Wage and Price Pressures
[임금과 가격 압박 감소]
Returning to price stability will require an assertive and rapid withdrawal of monetary accommodation.
[물가 안정을 위해 단호하고 신속한 통화 정책 철회 필요]
To decisively bring inflation back to the Federal Reserve’s 2 percent goal by late 2023/early 2024,
will require both raising the policy rate above neutral, in ex ante real terms, and keeping it there for some time.
[2023년말/24년초 인플레이션을 2%대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정책 금리 중립 이상 상승 및 유지 필요]
Outlook and Risk
[전망과 리스크]
Based on the median projection for the policy rate published at the June FOMC meeting,
we expect the U.S. economy will slow in 2022-23 but narrowly avoid a recession.
[기준 금리 전망치(중간값)을 기준으로 미국 경제는 둔화 예상, 하지만 경기 침체는 피할 것으로 예상]
정리해보자면,
- 물가 상승의 안정을 위해 정책 금리는 중립 이상 상승 및 일정 기간 유지 필요
- 기준 금리 중간값 이상 상승 시, 미국 경제 둔화, 하지만 침체는 아닐 것
- 정책 금리는 2023년 ~ 2024년들어 다시금 2%대로 하향 유지 예측
제일 주요한 내용은 위의 전망치(Projection) 표겠네요.
결국, 초저금리 시대는 벗어났지만, 물가 안정기가 찾아올 시, 저금리 시대로의 재(再)회귀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지금까지 IMF의 미국 경제 성장률 분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시 하락 배경 3가지 분석 (1) | 2022.07.01 |
---|---|
카카오뱅크 매도 리포트를 알아보자 [DB금융투자] (1) | 2022.07.01 |
미리보는 테슬라(TSLA) 2분기 실적 발표 (1) | 2022.06.30 |
뉴욕 연은 총재(John C.Williams) 발언 정리 (0) | 2022.06.30 |
나스닥 선물 박살나고 있는 배경 분석 (2) | 202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