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풀매수(?) 때린 캐시우드 포트폴리오 분석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어제 미국 증시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상승 마감했는데요.
- 유통/소매업체 어닝 서프라이즈
- GDP 하회했으나, 미국 소비 지표 개선
- 중국 대형 기술주의 견고한 실적 등
의 이유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날, 캐시우드의 아크펀드 시리즈 역시 매수/매도가 아주 활발했는데요.
그 중, 엊그제 실적 발표가 있었던 엔비디아를 크게 매수한 것이 확인됐습니다.
날짜 기준 : 5월 26일 (미국 시간 기준)
구분 기준 : 매수/매도 (ARK Fund 총합)
Trade Notification for 5/26/2022
먼저, 매수(Buy)입니다.
Direction | Ticker | Shares Traded | stock | valuation |
BUY
|
NVDA | 245,286 | 169.8 | 41,637,299 |
ADPT | 220,717 | 7.5 | 1,661,999 | |
COIN | 127,210 | 67.2 | 8,544,696 | |
CDXS | 108,230 | 9.96 | 1,077,971 | |
CDNA | 84,795 | 23.87 | 2,024,057 | |
TWLO | 849 | 96.55 | 81,971 | |
ROKU | 280 | 84.79 | 23,741 |
엔비디아를 총 245,286주를 매수하였습니다.
이는 25일 종가를 적용해보면, $41.6 million 으로 원화 520 억원 정도에 해당합니다.
엔비디아의 실적 관련 자료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엔비디아 너마저? 엔비디아 실적 발표 분석 [NVDA]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한국인이 보유하고 있는 미국 주식 중, 높은 순위에 위치하고 있는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가 있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 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달성 (다
seek-and-eat.tistory.com
실적 발표 직후, 2분기 가이던스 부진으로 인해 장외 주가가 소폭 하회했지만,
데이터 센터 매출에 따른 향후 성장세 기대에 따라 5% 가량 주가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Nvidia CEO Jensen Huang reports 83 percent year-over-year growth in data center technology revenue
[데이터센터 매출 YoY 83%↑]
다음은, 매도(Sell)입니다.
Direction | Ticker | Shares Traded | stock | valuation |
SELL
|
SPOT | 260,407 | 108.79 | 28,329,678 |
SE | 169,195 | 75.71 | 12,809,753 | |
IONS | 109,966 | 36.86 | 4,053,347 | |
OKTA | 98,693 | 82.57 | 8,149,081 | |
BNR | 76,749 | 2.43 | 186,500 | |
BIDU | 181 | 119.32 | 21,597 |
스포티파이(SPOT)를 크게 매도했네요.
이틀 전에도 약 56만주를 매도한걸로 미루어보아, 거의 전량 매도에 가까운..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 같네요.
스포티파이는 YTD(연초 대비) 수익률 기준 -55.51%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캐시우드의 포트폴리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 피크아웃? 미국 증시 상승이 과연 '찐반등'일까? (4) | 2022.05.28 |
---|---|
WHO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와 미국 증시 [Monkeypox] (2) | 2022.05.27 |
미국 증시 멱살 끌고 밀어올린 메이시스 실적 발표 분석 (1) | 2022.05.27 |
반도체 오더컷 루머의 진실은? 삼성전자 향후 주가는? (2) | 2022.05.27 |
일론의 트위터 인수 자금 조달 구조 변경은 호재? or 악재? (0)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