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상승 분석 - 별 다른 이유가 없는게 문제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걱정했던 3월 FOMC 이후, 2영업일 연속 미국 증시는 상승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15일까지 합치면 3영업일 연속 상승
미국 증시 랠리의 발목을 잡고 있었던 요인으로는
- 고유가가 불러올 인플레이션
- 예상치 못한 FOMC에서의 변수 발발
- 러-우 갈등 심화
인데, 오늘 증시가 오른 이유 중, 어느것 하나 해결된게 없는 듯 해, 솔직히 증시가 오른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한
판단이 서지 않습니다. 저가 매수세 유입 정도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특히, 중국 봉쇄로 수요 악화 전망에 따라 유가가 어느정도 잡히는 듯 했으나,
- 러시의 마리우폴 추가 공격 감행
- 300만 배럴의 러시아산 원유 공급 중단 가능성(4월부터)
IEA는 현재 상황을
“the biggest supply crisis in decades."
[수십년만의 최대 공급 리스크]
라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모건스탠리 역시, 3분기 브렌트 가격 전망치를 1배럴당 100달러 -> 12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트위터를 통해 공식적으로 "유가 곧 잡힐거야" 라고는 하지만, 글쌔요..?
일단, 인플레이션이 해결될 기미가 보인다는 얘기는 한 수 접어두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금리 인상에 대한 리스크가 해소가 되었을까?
저는 그것도 아니라고 봅니다.
3월 FOMC 성명문(Statements)의 점도표를 보면,
남은 6회동안 0.25%의 금리인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짐작해볼 수 있는데요.
위의 CME Fed watch에서 5월 FOMC에서 0.5% 금리 인상 확률이 FOMC 하루 전 대비 가능성이 큰 폭으로 줄긴 했지만,
51.2% -> 30.6%
그럼에도 불구하고, 3월 CPI와 이후 발표가 있을 고용지수에 향방에 따라 분명히 스탠스가 달라질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물론, 아닐수도 있고, 반박시 님 말이 맞음.
"아니, 그러면 어제 미국 증시는 왜 오른거에요?"
굳이 찾자면, 두 가지 정도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 실업 수당 청구 건수 하락 (즉, 고용지표 개선)
발표 : 214K
예측 : 220K
이전 : 229K
- 러시아 디폴트 우려 완화
이것도 대부분의 언론사에서는 부채를 갚았니 마니.. 뭐 말이 많았지만, 실제로 지급이 되었는지는 명확하게 확인이..
*사실상 금액도 엄청 작아서.. 못갚을 정도의 리스크가 발생할 일은 애초에 없었더랬죠.
러시아 "국채이자 달러로 지급…서방제재로 처리여부는 불투명"
미 재무부 "러 채권이자 받을 수 있게 예외 허용" 반박
www.mk.co.kr
3월 21일, 28일에도 외화 국채 이자 지급 이슈가 있어, 해당 사건이 완벽하게 종결이 났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특히, 현지 시간으로 3월 18일은 '네 마녀의 날'이라 주가 변동성은 더 심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오늘 주가 상승에 대한 원인을 굳이 꼽아서 찾기는 좀 어렵지 않은가 싶은 하루네요.
지금까지 오늘의 미국 증시 관련 내용 정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선물 옵션 만기일 미국 3대 지수 등락폭 분석 (0) | 2022.03.18 |
---|---|
유일로보틱스 따상 가능성 분석 [3월 18일 상장] (1) | 2022.03.18 |
2018년 이후 첫 금리인상(0.25%) - 금리인상기 투자전략 (1) | 2022.03.17 |
마이크론 목표가 상향 → 삼성전자 호재? (1) | 2022.03.17 |
3월 FOMC 관련 제롬파월 연준의장 기자회견 요약(Recap) (0) | 2022.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