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테이퍼링은 확실시 되어가는 중 (feat. 연준)
안녕하세요.
지난 밤 3대 지수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빅테크와 은행주 위주로는 많이 올랐는데.. 반도체가 좀 작살이 났네요.
아무튼,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증시에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유럽 등 각국에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급속히 재확산하고 있지만,
아직 미국 증시에는 큰 위협으로 다가오지는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어제 있었던 주요 Index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ISM 제조업구매자지수
발표 : 60.6
예측 : 61.0
이전 : 61.2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발표 : 62.1
이전 : 62.6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발표 : 364K
예측 : 390K
이전 : 415K
지표들만 봤을때는 실업자수도 줄고, 제조업 상황도 지속적으로 좋아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네요. 대호황 가즈아..입니까?
이를 증명하듯, 유가는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요. 8월물 WTI 가격이 75.23달러까지 치솟았습니다.
유가의 가파른 상승의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원유 수요를 따라오지 못하는 공급
② 예상 대비 더 적은 수준의 감산 완화 규모
③ 'OPEC+' 회의 연장
이와 관련된 내용은 아래의 기사를 참고해주세요.
이 날은 패트릭 하커(Patric Harker)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와 WSJ(Wall Street Journal)의 인터뷰가 있었던 날이기도 합니다.
인터뷰 전문은 위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고, 관련 내용 아래와 같이 요약해드립니다.
*실업률, 델타바이러스 등 다양한 얘기를 나눴지만, '테이퍼링'과 관련된 부분만 요약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WSJ(Wall Street Journal)
How long could you tolerate this higher inflation?
Where would things change for you where you would think
monetary policy needed to respond specifically to an inflation problem?
[높은 인플레이션을 언제까지 견딜 수 있을것이며, 통화정책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언제?]
- Patric Harker
So for me, as we start to reopen in September and a lot of the constraints start to be removed
—particularly on the labor side, but also hopefully on some of the supply—the supply chain issues—
I think as we move through the fall, if we’re still seeing in the latter part of the fall that inflation not settling back to
what I view as trend, then I would be concerned. I’m not concerned right now,
but I would be concerned as we move through the fall.
[고용, 수급망이 9월 재개 될 것으로 예정하며 가을 후반부에 인플레이션이 안정되지 않을때라고 생각]
- WSJ
OK. And so, you know, we’ve alluded to this several times about monetary policy,
I’m going to turn directly towards that topic right now.
And I want to know—I mean, are you comfortable with saying what do you submitted to the SEP forecasts,
you know, at the meeting?
[SEP(Summary of Economic Projections, 경제전망요약)에 대해서 알려달라]
- Patric Harker
I have not moved my forecast. My forecast before was not touching the fed funds rate until 2023.
I’m still there right now, although, again, things could change.
.
.
(중략)
I’d ideally like to complete that tapering process before we would consider moving the fed funds rate.
And slowly, methodically, carefully tapering, with early warning to the markets of what we’re doing—
that is, early communication.
.
.
(중략)
If we see inflation not behaving as we hoped, that is staying within our 2 percent-
ish range, then I think we may have to act sooner. But right now, that’s not my forecast.
[금리 변경 이전에 테이퍼링을 완료하고 싶다. 테이퍼링 이전에 조기 경고를 시장에 전달할 것, 인플레이션이 2% 내외 지속된다면,
더 빠르게 행동(테이퍼링)할 것]
- WSJ
So would you envision—if things play out the way you expect would you envision tapering beginning this year?
[즉, 테이퍼링은 올해 안에 진행된다는건지?]
- Patric Harker
Yes. I mean, I would like to see tapering begin.
I’d like to see it happen sooner rather than later.
[그렇게 될 것]
아마 다음주에 있을 FOMC에서는 테이퍼링에 대한 아웃라인을 좀 더 명확하게 제시해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노동부 6월 고용보고서와 골디락스(Goldilocks) (0) | 2021.07.03 |
---|---|
일론머스크, 그리고 테슬라의 악재와 호재 (0) | 2021.07.03 |
지표로 증명하는 미국 증시 신고가 [7월 1일 미국 주식 투자의 맥] (0) | 2021.07.01 |
지표로 알아보는 미국 집값과 경제 상황 [6월 30일 미국 주식 투자의 맥] (0) | 2021.06.30 |
연준 2단계 테이퍼링 관련 요약 [feat. MBS] (0) | 2021.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