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게이츠가 내다본 2022년 대전망 [feat. Gatesnotes]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빌 게이츠가 본인의 공식 블로그인 Gatesnotes를 통해 2022년에 대한 전망을 써내려갔는데요.
내용이 방대하다 못해, 심지어 영어라, 제가 섹터별로 나눠서 요약/정리했습니다.
원문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가능합니다.
Reasons for optimism after a difficult year
2021 was an incredibly hard year for many people, including me, but I’m hopeful that 2022 will be better.
www.gatesnotes.com
제목은 Reasons for optimism after a difficult year
[힘든 한해였지만, 내년이 희망적인 이유]
*정말 많은 내용을 축약하였으니, 시간을 갖고 원문을 읽으시길 추천드립니다.
- Chapter 1
A very strange year
[요지경이었던 2021년]
In 2021, the pandemic has dominated our lives since day one.
[2021년은 대유행이 삶을 지배했던 해]
2021 was full of monumental events with global repercussions, including extreme weather events,
the ongoing effects of the pandemic, and America’s withdrawal from Afghanistan.
[2021년은 극단적 기후, 대유행, 아프가니스탄 철수 등 기념비적 사건들로 가득했던 한해]
- Chapter 2
The end of the pandemic
[펜데믹의 종말]
I am hopeful, though, that the end is finally in sight. It might be foolish to make another prediction,
but I think the acute phase of the pandemic will come to a close some time in 2022.
[마침내 끝이 보인다. 2022년 '언젠가' 팬데믹은 종결될 것]
The world is better prepared to tackle potentially bad variants than at any other point in the pandemic so far.
[전 세계는 어느때보다 팬데믹에 대비가 잘 되어있음]
It’s troubling any time a new variant of concern emerges, but I’m still hopeful that, at some point next year,
COVID-19 will become an endemic disease in most places.
[새로운 변종이 등장하는 건 골치아프지만, 팬데믹은 어느새 풍토병이 될 것]
Although it is currently about 10 times more lethal than flu, vaccines and antivirals could cut
that number by half or more.
[현재 독감 대비 치명적이지만, 백신과 항바이러스제가 그 수치를 절반 또는 그 이상으로 줄여줄 것]
I think mRNA vaccines will ultimately be seen as the most consequential breakthrough of the pandemic.
[모더나가 주요한 돌파구가 될 것으로 생각]
*Merck사의 치료제도 언급되어있음
- Chapter 3
Why declining trust worries me
[신뢰 감소에 대한 걱정]
The pandemic has been a massive test of governance.
When the pandemic finally comes to an end, it will be a tribute to the power of global cooperation and innovation.
[팬데믹은 정부에 대한 일종의 테스트, 종식이 된다면 찬사로 이어질 것]
I’m more worried than I’ve ever been about the ability of governments to get big things done
[하지만, 지난 몇 년간, 정부가 큰 일을 해낼 수 있는가에 대한 걱정]
We need governments to take action if we’re going to make progress on challenges like avoiding
a climate disaster or preventing the next pandemic. But declining trust makes it harder for them to be effective.
[기후 재앙 등의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가 좀 더 나아져야하는데, (대중들의) 신뢰의 감소로 인해 점점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
This decline in trust is happening all over the world.
[이러한 신뢰 하락은 전 세계적인 현상]
As people become more polarized on both sides of the aisle, politicians are incentivized to
take increasingly extreme positions.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정치인들은 점점 더 극단적인 입장을 취함]
- Chapter 4
Climate progress
[기후 진전]
특별한 내용 없음
- Chapter 5
A more digitized future
[더 디지털화된 미래]
It’ll take at least a decade to understand the full scope of the pandemic’s impact on digitization,
but I predict we’ll see big changes in three areas.
[팬데믹이 디지털화에 미칠 큰 변화가 세 가지가 있다]
The first and perhaps most significant is office work.
[첫 번째는 사무 업무]
We’re starting to see structures evolve that we thought were essential to office culture
[필수적이라고 느껴졌던 구조들의 변화 목격]
Within the next two or three years, I predict most virtual meetings will move from 2D camera image
grids—which I call the Hollywood Squares model, although I know that probably dates
me—to the metaverse, a 3D space with digital avatars.
[향후 2 - 3년 내에 가상 미팅이 '이미지 그리드', '메타버스'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
*줌과 같은 화상 미팅이 필요가 없어질 것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The second area where we’ll see the lasting effects of digitization is education
[두 번째 분야는 교육]
The final area where digitization is here to stay is in health care.
[마지막 분야는 의료 분야]
Over the last two years, we’ve seen more people opting for virtual appointments instead of in-person care.
[직접 진료 받는 대신 원격 진료 받는 사람들 늘어남]
Other types of doctor’s visits might become more flexible as new tools emerge, too.
[장비와 결합된 새로운 유형의 의사 등장 가능성]
- Chapter 6
Reasons for optimism
[긍정에 대한 이유]
The good news is that the world no longer needs to be persuaded that stopping a pandemic is important.
["팬데믹을 멈춥시다"라고 더 이상 설득할 필요가 없다는 점은 아주 긍정적]
*모두가 말하지 않아도 인지하고 있기 때문, 즉 이전처럼 팬데믹 공황은 없을거라는 점을 말하고 싶었던 것 같네요.
- Chapter 7
A new normal
[뉴노멀]
Human beings are naturally resistant to change.
[인간은 변화에 천성적으로 저항]
Whether it’s the massive global upheaval of the last two years or transitions closer to home,
it’s never easy to adjust to new ways of living.
[새로운 삶의 방식에 적응하는것은 어려운 일]
The world has adapted to big disruptions before, and we’ll do it again. In the meantime,
I wish you a very happy holiday season.
[인류는 다시금 적응 할 것, 행복한 휴가철 보내길]
지금까지 빌 게이츠의 2022년 세계 대전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저는 원문을 한 번 쓰윽 읽어봤는데요. 뭐 특별하게 엄청난 내용이 담긴건 아니지만, 챕터 5 정도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저 분야에 특화되신 분이니까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엔지니어링 공모주 청약 일정 [증권신고서 분석] (0) | 2021.12.13 |
---|---|
루시드 나스닥 100 지수 편입 이후 주가 전망 (0) | 2021.12.12 |
카카오페이 내부자 거래 공시 분석 [12월 10일자] (0) | 2021.12.12 |
츄이 3분기 실적 리뷰 [Chewy 3Q Earnings] (4) | 2021.12.10 |
일론머스크 테슬라 지분 매도 공시 분석 [12월 9일자] (2) |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