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버리 테슬라 숏(Short) 포지션 청산 공시 분석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흔히들 해외주식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한 번씩은 꼭 챙겨보시는 영화가 있죠?
바로 빅숏(Big short)인데요.
이 영화의 주인공으로 알려진 마이클 버리가 SEC에 제출한 서류가 공개됐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ARKK와 테슬라에 대한 *숏(Short) 포지션을 전부 청산했다고 합니다.
*주가가 떨어지면 돈을 버는 구조
이걸, 게임 용어로 'GG'라고 하죠..?
해당 내용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엑셀보다 더 많은 내용이 공시가 되어있긴 하지만, 투자자분들이 주요하게 여길 내용만 추려서 올려드립니다.
*더 궁금하시다면,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를 참고하시면 공시를 보실 수 있습니다.
ARKK(235,500주)
TSLA(1,075,500주)
TLT(1,943,000주)
모두 풋(PUT) 옵션 계약을 체결했었던 종목들인데요.
9월 30일경 모두 매도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Scion Asset Management(마이클 버리의 헤지펀드)의 테슬라 풋 옵션은 지난 1분기 공시때부터 확인해볼 수 있었는데요.
1분기 공시
800,100주
평균 단가 : $667.93
2분기 공시
275,400주
평균 단가 : 679.70$
15일 자로 보고된, 9월 30일 Reporting Period이니, 9월 30일 종가인 $775.48를 적용해서
마이클 버리의 손해를 한 번 파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공시에서는 평균 매수 가격이나 매도 일자에 대해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어 명확하지 않기에, 대략적인 가정을 잡아봤습니다.
대략 주당 평균 매입가가 $670.94로 잡히는데요.
9월 30일 $775.48달러와의 차손을 계산해보면, 주당 $104.5의 손해로,
총 $112,428,567의 차손, 즉 원화로 1,320억 가량의 손해를 입었다고 가정할 수 있겠네요.
*옵션의 성질, 그리고 공시 관련 분석 등 모두 '가정'에 의해 처리한 내용이고 재미로 알아보는거니, 양해해주셔요!
지금까지 마이클 버리의 풋(Put) 옵션 포지션 매도와 관련해서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씨소프트 슈퍼개미는 현물 거래로 얼마를 벌었을까? (0) | 2021.11.17 |
---|---|
워런 버핏(Warren Buffet)이 3분기에 줍줍한 종목은? (1) | 2021.11.16 |
테슬라 지분 1조 2천억원 매도 공시 분석 [11월 15일자] (0) | 2021.11.16 |
루시드 3분기 실적 발표 분석 (Lucid Group 21y 3q Earnings Review) (0) | 2021.11.16 |
국내 증시 회전율 상위 10개 종목 [11월 15일] (0) | 2021.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