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분석
안녕하세요.
로빈호드입니다.
어제는 FOMC 의사록(회의록) 등 주요한 이슈가 꽤 많이 산재되었던 날입니다.
회의록 외에도 어제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가 있었던 날인데요.
현재 물가는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여러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이 한데 뭉쳐, 그 속도가 이전보다 확연히 빠른게 특징입니다.
*물가상승률 안정화는 연준이 이행해야 될 목표(2.0%) 중 하나입니다.
아무튼, 차치하고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에 대한 간략한 내용 먼저 보고가실게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YoY)
발표 : 5.4%
예측 : 5.3%
이전 : 5.3%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MoM)
발표 : 0.4%
예측 : 0.3%
이전 : 0.3%
위의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식료품,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 (Core CPI)는 MoM으로 0.2% 증가하였습니다.
위의 수치대로 인플레이션이 좀처럼 잡힐 생각을 안하는데요.
0.4% 상승이 수치상으로는 "별거 아니지 않나요" 라고 하지만,
누적되면 상당히 큰 파도로 들이닥칠 수 있는 수치입니다.
자 그러면, 어떤 요인들이 소비자물가지수를 끌어올렸을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란색 표시를 해놓은 곳이 에너지 섹터, 더 자세히는 Fuel Oil (석유) 값이 가장 큰 상승을 한 것으로 나타나네요.
미국 외신에서는 에너지 상승률과 식품 가격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FOOD는 0.9%밖에 안올랐는데요?
디테일하게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측에 빨간색 표시가 MoM(Seasonally adjusted percent change)수치이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육류, 가금류, 생선, 계란 등의 지수가 2.2% 상승하였는데요.
우리나라말로하면.. 밥상 가격일까요?
뿐만 아니라 Beef and Veal (소고기) 값이 4.8%나 증가한것으로 확인됩니다.
문제는 이러한 물가상승률이 임금의 상승까지 밀어올리는 연쇄 효과로 작용할 수 있다는겁니다.
이런 현상은 FED의 테이퍼링(채권 매입 축소)의 정당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소재입니다.
아무튼, 11월은 확정일거고, 매입 축소 기간을 7월까지 진행될지, 아니면 가속도가 더 붙을지는.. 두고봐야겠죠.
지금까지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아이텍/차백신연구소 기관 의무 보유 확약 기간 총 정리 (1) | 2021.10.15 |
---|---|
외국인 보유 종목 순위 TOP 10 [10월 13일 기준] (1) | 2021.10.15 |
퇴직연금 ETF 추천 종목 리스트 [feat. 한국거래소] (3) | 2021.10.14 |
메타버스 ETF 4종 구성 종목 등 분석 (0) | 2021.10.14 |
퇴직연금 DB/DC/IRP 유형별 차이 (2) | 202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