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2월 FOMC 평가 [워싱턴주재원]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출처 : 구글, 한국은행 이미지]
한국에서 리포트를 발간하는 공공기관 중, 유일하게 필독(?)하는 한국은행의 2월 FOMC에 대한 평가가 올라와 공유드립니다.
*한국은행 워싱턴주재원 작성 : 2023년 2월 FOMC 회의 결과(제목)

[출처 : 한국은행]
*다 읽기 어려우니 해당 내용들을 요약/정리하겠습니다.
1. 개요
- 정책 결정 : 25bp 금리 인상, 대차대조표 축소를 이전 발표 계획대로 계속하기로 결정(Unanimous)
- 정책결정문은 인플레이션 다소 완화 평가를 추가, 향후 정책금리 목표 범위 결정 관련 '인상 속도' 표현 삭제
- 올해 첫 회의는 만장일치
평가 : 정책결정문에 인플레이션 다소 완화 평가 추가, 정책 금리 인상 속도 관련 표현 삭제
But, 3~5월 회의에서 데이터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파월 의장 언급에 따라 차후 데이터 눈여겨볼 필요

다음은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 관련 코멘트입니다.
*아주 말끔하게 정리가 잘 되어있는....
해당 내용 중에서 주요 부분만 발라서 확인해보겠습니다.
1. 12월 회의 이후 경제 데이터 감안 시, 여전히 향후 정책금리 최적 경로가 2번의 25bp 금리 인상이라고 생각하는지?
> 12월 회의에서 FOMC 참석자들은 최종 정책금리 수준이 5~5.25%가 될 것으로 전망. FOMC는 3월 회의에서 이러한 평가를 수정할 것. 인플레이션 2%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지속적 금리인상 적절하다고 논의
> 최종 금리 수준은 현 전망의 정책경로보다 높아질 수 있음
2.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한 이유는?
> 적절하게 금리가 제한적이라고 생각하는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몇 차례 금리를 더 인상하는 것에 대해 논의 중
> 인플레이션이 계속되고 있으며, 연준은 통화정책의 가변적이고 긴 시차를 고려하고 있는데 아직 서비스 부문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음
3. 금리인상 중단(Pause) 조건에 대한 논의가 있었는지?
> 3주 후 공개되는 의사록에서 세부 내용 확인할 수 있을 것임
4. 금리 인상을 일시 중지했다가 다시 재개할 가능성은?
> FOMC가 이를 고려하거나 자세히 검토하고 있지는 않음.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드만삭스 2023년 추천주 5개 종목 (0) | 2023.02.06 |
---|---|
래리 서머스의 고용지표 평가 [Nonfarm-payroll] (4) | 2023.02.06 |
애플 2023년 1분기 실적 발표 [Earnings miss] (3) | 2023.02.03 |
구글(알파벳) 4분기 실적 발표 [어닝미스] (1) | 2023.02.03 |
메타 4분기 실적 발표 [주가 20% 폭등 이유는?] (1)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