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어제는 매크로상 주요했던 지표들의 발표가 많았었는데요.
PMI도 그렇고, 고용지표도 그렇고.. 오늘 게시글에서 다룰 연준 회의록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중, 연준 회의록(FOMC Minutes)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FRB]

1. Participants agreed that Fed had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moving to a sufficiently restrictive monetary policy stance in the previous year.
[작년 통화 정책에 있어서 아주 급격한 진전을 펼친것에 동의]
*즉, 지나치게 긴축했다는거죠.

2. Participants welcomed October and November inflation drops, but agreed that it would take substantially more evidence of progress to be confident of a sustained downward path.
[10월/11월 인플레이션 하락을 환영하지만, 아직 더 명확한 증거가 필요함]

3. A number of participants emphasized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clearly communicate that a slowing in the pace of rate increases was not an indication of any weakening of the Committee's resolve to achieve its pricestability goal or a judgement that inflation was already on a persistent downward path.
[금리 인상 속도 둔화가 인플레이션 둔화 의지가 약해지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전달]

4. No participants anticipat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begin reducing the federal funds rate target in 2023.
[2023년 기준 금리 인하를 보고 있지 않음]

5. Participants noted that, because monetary policy worked importantly through financial markets, an unwarranted easing in financial conditions, especially if driven by a misperception by the public of the Committee's reaction function, would complicate the Committee's effort to restore price stability.
[금융환경의 부적절한 완화는 물가 안정을 회복하려는 연준의 노력을 복잡하게 할 것]

즉, 주요 표현들을 요약해보자면,
- 2023년 내에 기준금리 인하는 없음
- 오히려 긴축기조 완화는 물가 안정을 최우선하는 연준의 노력을 복잡하게 할 가능성 있음
- 물가 안정되는 시그널이 더 명확하게 나와야 함

정도입니다.
이 외에도, 매파로 분류되는 닐 카시카리 연은 총재의 발언도 있었는데요.


[출처 : WSJ]

제목 : 연준의 카시카리는 미국 기준금리 5.4%로 전망
이라는 제목의 기사입니다.

현재 기준금리 대비 약 100bp 높은 수준으로 보여지는데요.
이는 시장에서 전망하는 5.00% ~ 5.25% 기준금리 대비 높은 수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장기물 채권 금리가 하락했는데요.
시장은 여전히 지난 해 'Inflation is transitory(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는 역대급 똥볼을 찬 연준의 말을 믿지 못하는 분위기입니다.

지금까지 연준 회의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BELATED ARTICLES

more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