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연말 기준금리 전망 - 한미 금리 역전 의미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지난 7월 13일 역사적인 0.5% 빅스텝 금리인상 이후,
"그러면 연말 기준 금리가 어떻게 될까?"에 대한 궁금증이 많으신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7월 28일 (한국 시간 기준) 새벽 3시에 미국의 0.75% 추가 자이언트 스텝 이후 '한-미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했는데요.
"향후 한국 기준금리는 어떻게 되는걸까요?"
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한국 은행의 기준금리 전망 자료에 대해 공유드립니다.
물론, 저 역시도 부채가 자산 중 꽤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마냥 즐겁지만은 않은 상황인데요.
주요 글로벌IB (골드만, 모건스탠리, 씨티 등)는 한국의 연말 기준금리를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지,
그리고 남은 3번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각각 몇 bp씩 금리를 인상할것으로 전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ING입니다.

[출처 : ING]
제목과 부제는,
한국은행은 50bp 금리 인상하였고, 물가 상승률이 예측 대비 그렇게 크게 상승하지 않았기 때문에, ~~ (중략)
주요 내용은 본문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We maintain our current view of two 25bp hikes in August and October to reach 2.75% by year-end'
[8월과 10월 각각 0.25%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2.75% 연말 기준금리 예상]
다음은 씨티그룹(CITI) 입니다.

[출처 : 머니S]
씨티그룹의 김진욱 이코노미스트 역시 8월, 10월에 각각 0.25%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했습니다.
다음은 골드만삭스입니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
골드만삭스 원문 리포트를 구해보려고 했는데, 잘 구해지지가 않아 한국의 통신언론사인 연합인포맥스의 기사를 가져왔습니다.
내용의 골자는
- 50bp는 일회성에 가까웠음
- 금리 변화에 따른 가계의 민감한 모습에 따른 25bp 인상 전망
입니다.
다음은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설문 결과입니다.
24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고 하네요.

[출처 : Morning star]
- 24명중 20명이 7월 금통위 0.5% 인상 예상
- 나머지 0.25% 인상 예상
- 24명 모두 한국 은행이 단기적으로는 지속적으로 금리 인상할 것으로 예상
*즉 연말까지는 금리 인상을 이어갈것으로 전망하고 있네요.
그 다음으로는 로이터(Reuters poll)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출처 : Reuters]
That would take the base rate to 2.50% by the end of the third quarter, from 2.0% expected in a poll taken in may. It is expected to end the year at 2.75% up form 2.25% in the May poll
[3분기말, 2.50%로 전망, 연말 기준 2.75%로 전망]
*5월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각각을 2.00%, 2.25%로 전망했던것 대비 0.5%씩 오르긴 했지만.. 저도 2.75% - 3.00%에 동의합니다.
어쨌든, 글로벌리 한국 은행의 연말 기준 금리는 대략 2.75% 정도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즉, 8월, 10월, 11월 중 두 번에 걸쳐 인상)

[출처 : 중앙일보, 연합인포맥스]
이번 미국 기준 금리 인상에 따라 2년 반만에 한-미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했는데요.
일전에 게시해드렸던, '한-미 기준 금리 역전 현상은 과거에 어땠을까?" 게시글을 공유드리니 참고해주세요.
한미 기준금리 역전과 자금 유출 관계는? 과거 데이터 분석
안녕하세요. 로빈후드입니다. 오늘 코스피는 타 아시아 국가 대비 증시 흐름이 좋은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금리 인상에 따른 부채 압박'은 국가적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출처
seek-and-eat.tistory.com

[출처 : Financial Times]
참고로 2022년 들어, 세계 많은 중앙 은행들이 50bp 이상의 빅스텝을 단행하고 있습니다.
미국 기준으로는 2023년 들어서 금리 인상 기조가 잠잠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기는 하지만, 현재로서는 한치 앞도 전망하기 어려운게 사실입니다.

[출처 : 연합뉴스]
한편,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미국 금리 인상이 시장 예상에 부합했으며 생각하는 것 만큼 국내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발언을 이어갔습니다.

그렇게 되면 연말 기준 금리가 또 달라질수도 있겠죠.
지금까지 한국의 2022년 연말 기준, 금리 전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출처 : 유안타증권]
마지막으로 총재들의 발언을 정리하면서 오늘 자료를 마치겠습니다.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 이전에 정리된 자료라 빠져있네요.
감사합니다.
'국내주식_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MC 이후 나스닥 지수 향방은? [과거 사례 분석] (0) | 2022.07.28 |
---|---|
캐시우드 코인베이스 1천억원 손절 분석 [Feat. 아크인베스트] (1) | 2022.07.28 |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실적 발표 분석 (1) | 2022.07.28 |
삼성전자 역대 2분기 최대 매출 달성? 실적 발표 분석 (0) | 2022.07.28 |
메타(구 페이스북)에 무슨일이? 메타 2분기 실적 분석 (2) | 2022.07.28 |